본문 바로가기

공간 산책

문화 공간 추천

반응형


 
1.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ART ARCHIVES, SEOUL MUSEUM OF ART)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 라운지

이곳은 23년 4월 4일 개장한 평창동의 서울시립 미술아카이브입니다.
기록과 예술이 함께하는 미술관으로써 여러 개인과 단체가 남긴 자료들이 많이 있습니다.
도서관이나 서점에서는 볼 수 없을만한 책들이 많아 새로운 영감을 얻기 좋은 장소입니다.
크게 3개의 동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각각 자료열람, 무료전시, 카페, 세미나 공간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2. 국립중앙박물관 (NATIONAL MUSEUM OF KOREA)

국립중앙박물관 중앙계단

용산에 위치한 국립중앙박물관을 좋아하는 이유는 중앙 계단 때문입니다.이곳은 마치 하늘을 찍은 거대한 사진 프레임 같습니다. 계단을 다 오르면 보이는 남산의 풍경을 보며 앉아있기에도 좋습니다. 
 
 
3. LG아트센터 서울

LG아트센터 서울

안도다다오가 설계한 LG아트센터 서울은 중앙부의 타원형 통로, 튜브가 인상적입니다.
건물전체를 관통하는 이 원통형구조는 공연장(LG아트센터)과 연구공간(LG디스커버리랩)을 이어주는 통로로써 공간을 이동할 때 새로운 경험을 선사해 줍니다.
특히, 튜브에서 퍼지는 은은한 향기 '136'은  부드럽고 무게감 있는 우디 향과 따뜻한 스파이시향으로 고급스러움과 감각적인 분위기를 느끼도록 해줍니다.
 
 
4. 광교 푸른숲도서관

광교푸른숲도서관

좋은 도서관과 울창한 숲이 있는 공원은 그 동네가 살기 좋은 동네인지 판단할 수 있는 하나의 척도입니다.
 광교 호수 공원 옆에 있는 푸른숲도서관은 운동과 독서를 모두 할 수 있는 매력적인 공간입니다.
이 도서관의 특징은 계단형식입니다.  실내의 중앙 통로는 계단형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높은 천장으로 인한 넓은 공간감을 느끼며 독서를 즐길 수 있습니다. 옥상 공간도 계단 형식으로 되어있어 앉아서 휴식을 취할 수 있습니다. 
 
 
5. 문화비축기지

문화비축기지

문화비축기지는 상암의 옛 석유비축기지 자리에 만들어진 서울특별시 공립 문화공간입니다.
 그 당시 석유를 비축하였던 탱크를 남겨 보존하고 그 옆에 탱크 모양을 본뜬 공간을 신축했습니다.
접근성이 떨어지고 아직은 콘텐츠가 부족한 면이 있지만 유휴지를 새롭게 탈바꿈한 좋은 예입니다.
건축물 자체의 이색적인 면은 장점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앞으로 좀 더 활성화되었으면 하는 공간입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