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술과 사회

주식에서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 방법과 매수,매도 타점

반응형

주식투자에서 기술적 분석은 주가 차트와 거래 데이터를 분석하여 주가의 향방을 예측하는 방법론입니다.
기술적 방법이라고 항상 다 맞는것은 아니고 주식을 잘한다는 사람들을 보면 차트에서 기술적인 지표를 아예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도 볼 수 있습니다. 
기술적 지표라는게 항상 주가를 후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지표를 보고 예측하여 투자하는 것은 한계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기술적 지표는 보조적으로 사용하고, 그 보다도 수급, 재료, 시장의 분위기 등 주식시장을 전체적으로 크게 보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여러가지 기술적 지표들

 
 
 

대표적인 기술적 분석 방법과 매수 및 매도 타점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술적 분석 방법

  1. 이동평균선 (Moving Averages):
    • 이동평균선은 일정 기간 동안의 주가 평균을 계산하여 그래프로 나타낸 것입니다. 주가가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 매수 신호, 하향 돌파할 때 매도 신호로 활용됩니다.
  2. 상대강도지수 (Relative Strength Index, RSI):
    • RSI는 주가의 상승압력과 하락압력의 상대적 강도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70 이상에서는 과매수 상태로 판단하여 매도 신호, 30 이하에서는 과매도 상태로 판단하여 매수 신호로 활용됩니다.
  3. 볼린저 밴드 (Bollinger Bands):
    • 볼린저 밴드는 주가의 변동성을 측정하고 상한선과 하한선을 설정하여 주가의 과매수 및 과매도 상태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볼린저 밴드 밖으로 주가가 나가면 반대 방향으로의 조정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4.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 MACD는 두 개의 지수 이동 평균선(단기, 장기)의 차이를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MACD가 신호선을 상향 돌파하면 매수 신호, 하향 돌파하면 매도 신호로 사용됩니다.

매수 및 매도 타점 기준

  • 매수 타점:
    • 이동평균선 크로스오버: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상향 돌파할 때, 장기 이동평균선 아래에서 단기 이동평균선이 반등할 때.
    • RSI 30 아래 진입 후 회복: RSI가 30 아래로 떨어진 후 다시 상승할 때.
    • 볼린저 밴드 하단에서의 반등: 주가가 하단 볼린저 밴드 근처에 이르면서 반등할 때.
  • 매도 타점:
    • 이동평균선 크로스다운: 단기 이동평균선이 장기 이동평균선을 하향 돌파할 때, 장기 이동평균선 위에서 단기 이동평균선이 반등할 때.
    • RSI 70 위로 상승 후 하락: RSI가 70을 넘어서면서 다시 하락할 때.
    • 볼린저 밴드 상단에서의 조정: 주가가 상단 볼린저 밴드 근처에 이르면서 조정할 때.

 
이 기술적 분석 방법들은 개별 투자자의 투자 스타일과 선호하는 시장 상황에 따라 다르게 해석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 결정을 내릴 때에는 여러 기술적 지표를 종합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