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 건축

아파트 조명선 구조

by hoonsgoods 2025. 6. 16.
반응형

 

셀프 인테리어나 조명 교체를 해보려다 보면 한 번쯤 드는 의문이 있죠.
“천장 속 전선은 어떻게 연결돼 있을까?”
“스위치를 내리면 전선은 어떻게 작동하지?”

오늘은 아파트 천장 안의 조명선 구조와 전기 흐름, 그리고 셀프 설치 시 주의할 점까지 쉽고 실용적으로 정리해보겠습니다.

천장 조명

 

1. 아파트 천장 안의 조명 전선 구조는 어떻게 생겼을까?

🔌 기본 구성: 전등 + 스위치 + 분기박스

 

아파트 천장 안에는 아래 구조로 조명선이 배선되어 있어요.

  • 분전반: 집 전체 전기를 분배하는 곳 (두꺼비집)
  • 분기박스: 천장 안에 숨겨진 전기 연결함
  • 조명기구: 거실등, 방등 등
  • 스위치: 전등을 켜고 끄는 벽면 버튼

아파트 천장 조명 배선 구조도

 

 

2. 조명선(Line)의 구분

조명 선 색깔

 

 

 

 

이 그림에 한정하여 색깔에 따라 선을 구분하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검정색, 파란색: 상(電源, Live)

흰색: 중성선(Neutral)

녹색: 접지선(Earth)


조명을 연결하시고 싶으시면 상선과 중성선을 연결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스위치는 '상선(활선)'만 제어합니다.
즉, 스위치를 내려도 중성선은 계속 연결되어 있는 구조예요.

그래서 전구 교체 시에도 감전 위험이 남아있는 거죠!

















✅ 주의해야 될 점은 21년부로 규정이 바뀌어서 색깔을 잘 구분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가장 큰 변화는 중성선(N)의 색상입니다. (흰색 → 파란색(청색) 으로 변경)
오래된 아파트의 경우 흰색이 중성선, 검정이 상선이지만, 새 아파트는 청색이 중성선, 갈색이 상선일 수 있으니 확인 필수입니다.

 

 

 

3. 셀프 조명 설치 체크리스트

 

1) 전기 차단은 필수!

  • 분전반에서 ‘조명’ 차단기를 반드시 OFF
  • 스위치만 내려서는 완전한 전기 차단이 아닙니다. 아래 스위치 중 전등이라고 되어있는 부분을 내려주세요.

두꺼비집

 

2) 전선 색 구분

  • 흑색: 상선 (전기 흐름)
  • 백색: 중성선 (복귀선) (규정 바뀐 후는 청색)
  • 녹색 or 노란선: 접지

만약 전선 색이 헷갈리면 비접촉 전압 테스터기로 상선을 찾아내야 합니다.

 

3) 천장 고정 방법

  • 아파트 천장에는 미리 조명 브라켓 고정용 나사가 박혀 있음
  • LED 직부등이나 방등은 이 나사에 걸어 고정

조명 브라켓조명 브라켓

 

 

4. 사람들이 자주 묻는 질문 (Q&A)

❓ 스위치를 꺼도 조명이 희미하게 켜져 있어요. 왜 그럴까요?
👉 이는 잔광 현상입니다. LED 조명은 미세한 전류만 있어도 켜질 수 있어요.
→ 해결법: 콘덴서(소자) 설치, 또는 스위치 단선 처리

 

❓ 전등 교체 중 전기가 통하고 있는지 확인하려면?
👉 비접촉 전압 테스터기 사용.

 

❓ 방등을 LED로 바꿀 때 어떤 걸 사야 할까요?
👉 공간 면적(평수)에 맞는 광속(루멘) 기준 확인하세요.
예: 6평 방 → 약 2,000~3,000루멘 필요

 

 

마무리하며

 

셀프 인테리어가 유행하면서 직접 조명도 교체해보려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하지만 천장 속 조명선 구조는 생각보다 감전·화재의 위험이 클 수 있습니다.
오늘 설명드린 전선 흐름과 설치 구조를 이해하면 보다 안전하게 작업하실 수 있어요.

728x90
반응형